모기 물린 자국이었는데, 소두증의 아이가 나올 수 있어요 – 지카 바이러스,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모기 물린 자국이었는데,

소두증의 아이가 나올 수 있어요”

지카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병에 대해 백신도 치료제도 없다는 점을 강조하는 빨간 X 이미지 썸네일


처음엔 그냥 모기에 물린 줄 알았습니다.
간지럽고, 빨갛게 부어오른 자국 하나.

하지만 몇 주 뒤,
임신 중이던 여성은 뱃속 아이의 머리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작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의사에게 들은 병명은
👉 소두증.

그리고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것이
바로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 입니다.


지카 바이러스는 흔히 모기로 전파되는 병으로 알려졌지만,
성관계로도 감염될 수 있는 사실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습니다.


2025년 6월,
질병관리청이 국내 첫 확진 사례를 발표했습니다.
그것도 2년 만의 재등장.

"이젠 끝난 병 아니었어?"라고 생각하셨다면,
이번 글은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


1. 지카 바이러스란?

  • 뎅기열·황열바이러스와 같은 플라비바이러스계열

  • 모기(이집트숲모기 등) 를 통해 전파

  • 대부분 증상 없이 지나가지만,
    드물게 발열·근육통·결막염·피부 발진 동반 가능



2. 성병은 아닌데 성관계로 감염?

그렇다.

  • 지카 바이러스는 드물게 정액·질 분비물·혈액·침 등 체액에 존재

  • 즉, 감염자와의 성접촉을 통해 전염될 수 있음

📌 특히 감염자 본인이 무증상일 가능성이 높아 더 위험


👉다른 성병도 궁금하시면?  

[성병 감염병 시리즈 모음 페이지]


3. 키스? 수건? 모기? 전파 경로 정리

  • ✔️ 성접촉: 정액·질 분비물을 통해 가능

  • ✔️ 키스: 가능성 낮지만 침에 바이러스가 존재한 사례 있음

  • ✔️ 수건·물컵 공유: 현재까지 명확한 보고 없음 (가능성 낮음)

  • ✔️ 모기: 주요 전파 경로 (국외 발생 대부분 이 경로)



4. 임신 중 감염이 더 위험한 이유

  • 태아에게 감염되면 소두증(머리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작음) 유발

  • 성장장애, 시력 및 청력 문제, 발달 지연 초래 가능

  • 임신 중 감염 시 출산 결과에 치명적 영향 미침



5. 치료는? 예방은?

  • ❌ 치료제 없음

  • ❌ 백신 없음

  • ✅ 증상 있을 시 해열제·수분 보충 등 대증요법

📌 예방 방법:

  • 해외 유행지역 여행 후 6개월간 콘돔 사용 권고

  • 모기 물리지 않기: 벌레 퇴치제, 긴 옷 착용, 방충망 사용


✋ 이런 경우 주의하세요

  • 중남미, 동남아 등 유행지역 방문 후 성관계 시

  • 임신계획이 있는 커플, 특히 남성이 해당 지역 다녀온 경우

  • 증상이 없더라도 감염 우려가 있으면 성관계 피하거나 콘돔 사용




🧩 마무리 요약

지카 바이러스는 성병은 아니지만
성접촉으로도 전파될 수 있는 감염병입니다.
임신을 계획 중이거나 유행국가를 방문할 예정이라면
모기 퇴치제보다 콘돔이 먼저일 수 있습니다.


👉다른 성병도 궁금하시면?  

[성병 감염병 시리즈 모음 페이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정로환을 먹어도 설사가 멈추지 않을 때, 어떤 약을 써야 할까?

배탈? 장염? 증상별 설사약 사용법과 약국 추천 약 정리

설사한다고 무조건 지사제 먹으면 안 된다 – 설사 대처 이 순서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