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골이식인 게시물 표시

가수 보아가 급성 골괴사증으로 수술을 받게 됐습니다. 이 병은 왜 늦게 발견될까? 인공관절 수술까지 필요한 병일까요?

이미지
가수 보아가 최근 무릎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급성 골괴사’ 진단을 받고 수술에 들어간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이 병은 단순한 관절 질환이 아닙니다. 의료 접근성이 충분한 사람조차도 진단 시기를 놓치고, 결국 수술까지 가는 병 — 그게 바로 급성 골괴사입니다. 그렇다면 왜 늦게 발견되는 걸까요? 그리고 스테로이드 복용과의 연관성은 실제로 있는 걸까요? 공식 보도 자료와 의료 가이드라인, 다수의 논문을 토대로 정리했습니다.  1. 급성 골괴사란?   급성 골괴사(Avascular Necrosis, AVN)는 특정 부위의 뼈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 뼈 조직이 괴사하는 질환입니다. 엉덩이뼈(대퇴골두), 무릎, 어깨, 발목 등에 주로 발생하며, 초기에는 통증이 거의 없거나 모호한 느낌만 있어 진단이 쉽지 않습니다. ※ 그런데 왜 '급성'이라고 부를까? 급성 골괴사는 병 자체는 서서히 진행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통증 발생 이후 수 주 내에 연골이 붕괴되는 폭발적 진행을 보이기 때문에 의학적으로는 ‘rapidly progressive AVN’ 또는 ‘급성형 골괴사’로 구분해 부릅니다.  2. 보아는 왜 수술까지 가게 되었을까?   보아는 최근 무릎 통증이 심해져 병원을 방문했고, MRI 촬영 결과 수술이 필요한 급성 골괴사 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소속사 SM엔터테인먼트는 즉시 수술 결정을 내리고 25주년 콘서트 일정을 취소했습니다. 이런 진행은 흔치 않지만, ‘급성형 골괴사’의 경우 증상 발현부터 수술 필요까지의 기간이 매우 짧을 수 있습니다.  3. 왜 의료 접근성이 충분해도 늦게 발견되는가?   ① MRI 아니면 조기 진단이 어렵기 때문 X-ray나 CT는 괴사의 초기 병변을 포착하지 못하며, MRI만이 초기 혈류 이상과 뼈 조직 괴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기 때문 단순 관절염, 근육통, 무릎 연골 통증 등으로 오해되기 쉬우며 통증이 있을 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