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배달음식인 게시물 표시

커피. 배달음식에 운동부족, 골다공증 피해갈 수 있을까?

이미지
햇빛은 출근길 신호 대기 중에 잠깐. 배달앱은 유튜브만큼 열일하고,  커피는 꼭 때려넣어야 정신 차리고 일을 한다.  주말엔 밀린 운동이 아닌 부족한 잠으로 충전하는...  이렇게 살아도 되나 싶은 생각도 피곤한 생활에 잊혀진 채 하루하루 흘러가고 있다. 진짜 이렇게 살아도 되나 1. 골다공증, 남의 일이 아닐 수 있다 최근 골다공증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진단 장비의 발달, 고령 인구 증가가 원인이라지만,  문제는 우리가 향후 어떤 건강 상태로 노년을 맞이할지에 있다. 햇빛 보기 힘든 실내 근무, 커피는 습관처럼 마시고,  배달 음식이 식단의 중심이 되어 있는 사람들.  이런 생활을 10년, 20년 더 이어가고 나면, 퇴직할 때즈음 건강 상태는 어떨까? 2. 커피와 배달음식, 뼈 건강을 해치는 조합 ✔ 커피 카페인은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고 배출을 촉진한다. 하루 3잔 이상 마시면 골밀도 감소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 배달음식 & 가공식품 나트륨이 많으면 소변을 통해 칼슘이 빠져나간다. 인산염(가공식품에 흔함)은 칼슘 흡수를 방해한다. 탄산음료, 튀김, 편의점 음식도 마찬가지. 3. 햇빛 부족 + 운동 부족 = 뼈 약화 공식 비타민D는 햇빛을 받아야 피부에서 합성된다. 실내 생활 중심이면 비타민D 결핍은 당연하다. 운동, 특히 걷기 같은 체중 부하 운동이 없으면 뼈는 강화될 자극을 받지 못한다. 즉, 자극 없는 뼈는 점점 약해진다. 무증상이라서 더 무섭다. 4. 골다공증은 조용히 온다 "뼈는 조용히 비어간다. 넘어지고 나서야 병원에서 그 사실을 알게 된다." 뼈가 부러지기 전까지는 아무 증상도 없다. 골절 후 병원에서 골다공증을 진단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문제는, 그때는 이미 뼈가 텅 비어있다는 것. 5. 바쁜 현실 속 할 수 있는 일.. ❌ 매일 운동 1시간? → 안 함 아니 못 함! ✅ 대신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오르기 하루 2번, 점심시간 10분 햇빛 받으며 걷기 ...

야식, 배달, 커피 못 끊는 사람도 장 건강을 챙길 수 있을까?

이미지
“장이 예민해졌다고요? 고지방 음식 줄이고, 유산균 먹고, 식이섬유 많이 드세요.” 이런 말은 백 번도 넘게 들었을 거예요.  그런데 현실은 어떨까요? 회식으로 삼겹살, 야식으로 치킨. 아침엔 커피 한 잔은 때려넣어야 정신이라도 차리고, 하루종일 앉아서 일하고, 밤엔 스트레스에 폭식까지. “그걸 누가 몰라서 못 해?” 이게 솔직한 마음 아닐까요. 1. 장이 보내는 불편한 신호들 밥만 먹고 나면 배가 더부룩하다 방귀가 자주 나오고 냄새가 심하다 묽은 변과 설사가 반복된다 화장실을 다녀와도 개운하지 않다 이런 증상들이 반복된다면, 장내 세균 균형이 무너지고 있다는 신호 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 식단을 바꾸기도, 스트레스를 줄이기도 어렵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못 바꾸는 습관 속에서, 바꿀 수 있는 것만 바꾸자 상황 현실적 대안 야식·배달을 자주 먹는다 반찬 한두 개만 익힌 채소로 바꾸기, 하루 1번만이라도 고기만 먹는 식단 김치 대신 나물, 된장국이라도 함께 먹기 커피·에너지음료를 자주 마신다 유산균과는 시간차 두고 복용, 하루 수분 1L 이상은 꼭 앉아있는 시간이 많다 화장실 가기 전 2분 제자리 스트레칭, 식후 산책 소화가 안 되거나 잦은 설사 지사제보단 장운동 조절제나 유산균 제품 활용 고려 3. 약국에서 찾은 도움 습관을 바꾸기 어렵다면 약국에서 작은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입니다. 트리메부틴 : 과민성 장 증상(복통, 배변 전 불쾌감 등) 완화 시메티콘 : 복부팽만, 장내 가스 제거에 효과적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 유해균 억제, 유익균 균형 유지 다만 유산균도 무작정 먹기보다 내 증상에 맞는 제품을 고르는 것 이 중요합니다. 설사형 IBS와 변비형 IBS에 필요한 유산균이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4. 정리하며 모든 식습관을 바꾸긴 어렵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