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로환을 먹어도 설사가 멈추지 않을 때, 어떤 약을 써야 할까?
정로환은 많은 사람들이 배탈이나 설사 증상이 있을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약입니다. 탄닌산과 같은 성분이 장 점막을 수축시켜 설사 증상을 빠르게 완화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로환을 복용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경우 원인을 먼저 파악하고, 상황에 맞는 약을 선택해야 합니다.
1. 정로환이 듣지 않는 이유는?
1. 급성 장염으로 인한 감염성 설사
- 바이러스(노로바이러스 등)나 세균에 의한 경우에는 단순 지사제로는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 이럴 땐 흡착제 성분이 포함된 약(예: 스멕타 성분의 약)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스트레스성 과민대장증후군
- 긴장하거나 식사 후 갑작스러운 설사를 자주 한다면, 진경제(예: 트리메부틴) 계열 약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3. 유당불내증이나 음식 알레르기
- 음식 섭취 후 반복적인 설사를 한다면, 약보다는 음식 조절과 함께 락타아제와 같은 보조제가 필요합니다.
2. 정로환 외에 고려할 수 있는 약은?
증상 유형 | 고려 약물 | 주요 성분 | 작용 방식 |
---|---|---|---|
바이러스성 장염 | 스멕타 | 디오스멕타이트 | 독소 흡착, 장 점막 보호 |
복부경련, 과민성장 | 트리메부틴 | 트리메부틴 | 장 운동 조절 |
설사 + 속쓰림 | 비오스멕타 | 디오스멕타이트 + 제산제 | 흡착 + 위산 중화 |
고열 동반 심한 설사 | 지사제 + 해열제 | 탄닌산, 아세트아미노펜 | 증상 완화 중심 |
3. 약국에서 약을 고를 때 팁
- 약국에서는 설사의 원인이나 동반 증상을 설명하세요.
"물이 쏟아지듯 설사해요", "배가 아프진 않는데 계속 나와요", "식중독 같아요" 등
구체적인 표현은 약사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 정로환을 먼저 복용한 뒤에도 나아지지 않았다면,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진 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정리
정로환은 대표적인 지사제이지만, 모든 설사에 효과적인 것은 아닙니다.
증상 원인에 따라 약 선택을 달리하면 치료 효과가 훨씬 좋아집니다.
약국에서 약을 고를 때는 증상을 정확히 설명하고, 필요한 경우 흡착제나 진경제, 보조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