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병인가요? 성병인가요?” 원숭이두창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기억나세요? 그 뉴스 속 물집 사진들.
2022년, WHO가 직접 국제 비상사태를 선포했던 질병.
원숭이두창(Monkeypox)입니다.
한때는 뉴스에 도배되던 이 병,
지금은 사람들 기억에서 서서히 사라졌죠.
하지만 그때도, 지금도
주된 전파 경로는 ‘성접촉’입니다.
사람들이 ‘이제 끝난 병’이라 착각할 때—
그 방심이 전염의 통로가 될 수 있습니다.
1. 원숭이두창이 뭐예요?
-
동물 → 사람으로 옮겨진 바이러스성 감염병
-
2022년 유럽과 북미에서 성 접촉 중심의 집단 유행 발생
-
피부 수포, 고열, 림프절 비대, 전신 통증
📌 대부분은 2~4주 후 자연 호전
하지만 전염력 있는 병변이 있는 동안은 타인에게 전파 가능
2. 성관계로 전파된다고요?
네.
성기, 항문, 구강 등
병변이 생긴 부위에 직접 접촉이 일어나면
전파가 가능합니다.
특히 2022년 이후 보고된 사례 대부분이
성 접촉을 통한 감염이었고,
남성과 성관계를 가진 남성(MSM) 집단에서 확산 중심이 된 건 사실입니다.
Q. 키스로도 감염될 수 있나요?
네, 입술, 혀, 입 안에도 병변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 부위엔 바이러스 농도가 높고,
피부·점막 접촉이 일어나는 키스는
전파 경로로 충분합니다.
특히 입안에 상처가 있거나,
상대방이 병변이 진행 중일 때 감염 위험은 높습니다.
Q. 음식 같이 먹으면 감염될 수 있나요?
대부분의 경우,
반찬을 젓가락으로 덜어먹는 정도로는 감염되지 않습니다.
📌 하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입이나 입술에 병변이 있는 사람이 자기 수저로 반찬을 휘저음
-
침이 묻은 식기를 공용 반찬에 직접 접촉
-
다른 사람이 즉시 그 반찬을 퍼먹음
"같이 먹는 건 괜찮지만,
같이 쓰는 건 조심하세요."
👉다른 성병도 궁금하시면?
3.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나요?
-
물집성 발진 (성기, 항문, 입술 등)
-
고열, 두통, 근육통, 전신 피로
-
림프절 비대
-
배변·배뇨 곤란 (항문·성기 병변 심한 경우)
📌 병변은 수포 → 농포 → 딱지 → 회복
→ 이 과정에서 전염 가능성 있음
4. 치료와 예방은요?
-
특이 치료제는 제한적
-
대부분은 자가 회복
-
중증 환자에겐 항바이러스제 사용 가능
-
3세대 두창 백신이 예방에 효과 있음
(국내 일부 접종 가능)
✅ 마무리 요약
원숭이두창은 피부병처럼 보일지 몰라도,
성병처럼 퍼지고 있습니다.
-
잊혔다고 끝난 병은 아닙니다
-
방심한 사이 다시 퍼질 수 있고,
-
그 중심엔 가까운 접촉이 있습니다
피부병이냐 성병이냐보다 중요한 건,
우리가 얼마나 쉽게 옮길 수 있느냐입니다.
👉다른 성병도 궁금하시면?